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카메라/자동차

자동차 시동이 안걸릴때 대처법.

반응형


오늘은 자동차 시동이 안걸릴때 대처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운전을 하시는분들은 평생 한번쯤은 겪을 수 있다고 생각 됩니다..


저는 한번 의 경험이 있구요.. 당황 해서 보험사에 연락을해 해결을 한적이 있습니다.


이유는 방전이었어요 ㅜㅡ  뭐든지 조금이라도 알고 있다면 좋겠죠!


그럼 시동이 안걸릴때 확인해야 할 것 들을 보겠습니다..



1. 자동차 변속기 레버의 위치 확인!


(D,N,R 에 변속레버가 있을땐 시동이 안걸립니다!)


첫번째로 확인할 것은 변속레버가 P 나 N 에 위치해 있는지 확인을 해보세요.


등잔밑이 어둡다는 말처럼.. 시동이 안걸려 당황하면 이런 기본적인 것을 놓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2. 베터리 확인!


변속기 레버의 위치가 P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베터리의 방전 일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시동을 걸기 위해 키를 돌려보면 엔진룸에서 '따따따닥'~ 소리만 나면서 스타트 모터가 안돌기도 하고, 이전보다


약하게 돌거나 걸리는 시간이 지연된다면 베터리 이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상황이에요..


또, 라이트가 안켜지고, 크락션 소리마저 안난다면 베터리 방전입니다..이때는 보험회사의 긴급출동 서비스를 이용하시면 되요~


보험사 기사님께서 오셔서 점프를 해 주고, 바로 되돌아 가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때는 제네레이터의 충전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 해 달라고 요청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일 제네레이터에 문제가 있다면 어차피 운행중에 꺼지거나 다음 


시동에도 분명 문제가 발생 할 수 밖에 없습니다. 





3. 연료장치 & 점화장치의 문제!


스타트 모터(시동모터) 가 정상적으로 작동을 한다면, 연료장치나 점화장치를 의심해 봐야 해요!


운전자들이 판단하기 힘든점이 조금 있으나, 최근에 출시되는 차량의 연료및 점화장치의 품질이 높아 지면서


정기적인 점검 또는 부품교체 등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어요.. 그럼 전기 시동장치를 살쳐보면 되는데


시동장치는 제네레이터/알터네이터 이며 경고등 점멸 또는 엔진시동의 회전상태 소리로 판단합니다..



[ 점프 케이블 사용법 ]


베터리 방전은 됬고 점프 캐이블과 도와줄 차량이 있다! 


하시면 점프로 시동을 거는 방법에 대해서 도 알려드릴게요. 


응급시 요긴하게 쓰이고 잘만하면 돈도 아낄수 있으나 잘못 헷갈리면 난감한 일이 벌어질 수 있으니 조심하시구요.


어스가 나면 공구가 녹을 정도로 스파크도 튀니 손을 보호 할 수 있는 목장갑은 꼭 끼고 하시길 바래요



1.구조차량과 고장차량을 주차한 후 엔진을 끈다.


2. 고장차량 베터리의 (+) 단자에 연결선의 (+) 집게 (적색)을 연결한 후 반대쪽 집게(적색)을 구조차량

    베터리의 (+) 단자에 연결한다.


3. 구조차량 베터리의 (-) 단자에 연결선의 (-) 집게 (흑색)를 연결한 후 반대쪽 집게(흑색)를 고장차량의

    엔진블럭(또는 차체)에 연결한다.


4. 구조차량의 엔진을 시동시킨 후 고장차량의 엔진을 시동시킨다.


5. 구조차량의 엔진을 정지한다.


6. 점프연결선을 연결할 때와 반대 순서로 점프 연결선의 (+) ,(-) 집게를 분리한다.




*구조차량과 고장차량은 같은 전압 (12v -12v ) 또는 ( 24v-24v )를 사용하는 차량끼리만 하셔야 합니다!




시동이 안걸릴때 원인 진단 표도 올려드리겠습니다.
그럼 오늘도 안전운행 하시고 추천한번 눌러주세요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