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카메라/자동차

오토 엔진브레이크 사용법 / 엔진브레이크란?

반응형

운전을 할 때 브레이크는 사이드브레이크와 풋브레이크 그리고 엔진브레이크를 이용하는 이 3가지의 브레이크 제동법이 있습니다. 또 우리 실제 운전에서는 사이드브레이크와 풋브레이크를 많이 사용을 하고 있어요. 이에 비해 엔진브레이크는 사용 빈도가 적은 편인데요. 오늘은 엔진브레이크의 사용 방법과 용도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엔진브레이크의 기본 조작방법으로는 저단기어를 사용하면서 속도를 낮추는 방법입니다.그리고 수동식 변속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힘을 유지시키면서도 기어를 낮추는 방법으로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는데요. 엔진브레이크는 내리막길에서 큰 능력을 발휘합니다.내리막길을 갈 때 3단 기어로 주행하면 가속도로 인하여 베이퍼록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 현상이 심할경우에는 브레이크 패드나 라이닝이 먹히지 않을 수도 있어요.따라서 내리막길에서 3단기어를 2단기어로 변속하면 풋브레이크가 없이도 저속으로 주행하며 내리막길을 주행할 수 있습니다.(오토 엔진브레이크 변속 순서는 D->2단(S)->1단(L) 순입니다.)



또 한가지 방법으로 평지에서도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것인데요.고속으로 주행을 하려면 가속페달을 밟은 다음 발을 떼어주면 속도가 바로 줄어듭니다. 이런경우에도 엔진 브레이크를 사용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엔진브레이크는 비와 눈이 많이 온 상태에서 노면의 질이 나쁜 경우에도 아주 유용합니다. 이렇게 상황이 좋지 않을 때 풋브레이크만 사용하면 차가 미끄러질 위험이있습니다.이럴때에는 엑셀을 밟지 않는 것만으로도 엔진 브레이크의 효과가 있으며 풋브레이크와 함께 사용하게 되면 좋은 제동력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많은 운전자들에게 이미 알고 있는 상식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잘 알고 있기에 간과 하는 경우도 있기 마련인데요. 초보운전자분들은 애초에 위험을 피하는 방법중 한 방법이 될 수 있으니 좋은 운전습관을 몸에 익혀 안전운행 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