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힐링 하자

마음의 창 : 그들의 눈에 비친 속마음

반응형

마음의 창 : 그들의 눈에 비친 속마음

흔히 눈을 가리켜 '마음의 창'이라 부르기도 하는데요. 이건 인간이 눈을 통해 속마음을 드러내기 때문일 것입니다. 아래에 소개된 사진은 라이프지에 의해 게재된 다양한 상황속, 그들의 눈을 찍은 사진으로 여러 감정이 내포된 그들의 표정을 알 수 있는 사진입니다.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Hktex




1. 경탄 : Harold Whittles가 촬영한 사진으로 보청기가 장착된 후 태어나서 처음으로 소리를 듣게된 아이의 표정.




2. 용기 : 16살에 강제로 원치않는 결혼을 하게 된 아프간소녀 비비 아이샤.

2009년 탈출했으나 바로 붙잡혀 탈레반에 의해 코와 귀가 잘려진 모습입니다. 이런 고통속에서 다시 아프간에서 탈출에 성공한 그녀는 미국에서 복원 수술을 받았습니다.




3. 광기 : 1차 세계대전중 1916년 플레흐 꾸흐스레트에서의 전투동안 쉘쇼크 즉 PTSD에 해당되는 증상이 생긴 한 군인.




4. 공황 : 일명 '힐즈브러 참사'라 불리는 사건 1989년 4월 15일

영국 셰필드에 있는 힐즈브러 스타디움에서 좁은 공간에 몰린 관객들로 인해 96명이 압사한 사고의 모습.




5. 부러움 : 1957년 20세기 폭스사의 파티에서 배우 소피아 로렌이 제인 맨스필드를 보고 부러워하는 눈빛을 담은 모습




6. 증오 : 사진사 알프레드 아이젠슈테트 그는 70년동안 '라이프 LIFE'지에 게제한 사진들로 유명한 인물입니다. 위 사진은 그가 촬영한 사진중 널리 알려진 사진으로 1933년 나치 선전장관 '요제프 괴벨스'가 카메라를 정면으로 노려보고 있는 사진입니다.




7. 패배 : 스탈린그라드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패배를한 부상당한 독일군이 소련군의 감시하에 이동중인 사진.




8. 부끄러움 : 나치독일에게 협력했던 프랑스 여성. 이런 여성들은 매국노라는 표시로 바리깡으로 머리가 삭발되었습니다.




9. 고통 : 베트남 다낭에사는 고엽제 장애를 가진 9살의 소녀 응우옌티리 입니다. 베트남 전쟁중 미군이 뿌린 고엽제에 노출된 사람은 그 후손까지도 고통을 받았습니다.




10. 평화 : 베트남전쟁당시 173공수여단 소속의 한 군인이 지은 표정. 헬멧에는 ' 전쟁은 지옥' 이라고 써 있군요.




11. 경외 : 1963년 파리의 한 인형극을 관람한 아이들의 표정입니다.




12. 기만 : 아사히 신물이 내건 카미카제 조종사들의 출격전날 마지막 사진입니다.




13 피로 : 독일군 수용소에서 해방된 미군이 휴식을 취하며 지은 표정입니다.




14. 공포 : 15세 소년병 한스 게오르그 헨케가 1945년 4월 3일 미군의 포로로 잡힌 이후, 공포로 인해 울고있는 모습. 이때가 독일 항복 바로 전날이었습니다.




15. 순수 : 알비노의 일종인 안구 백색증을 가진 소년. 원인은 홍채의 색소밀도가 낮은게 원인입니다. 아프리카에서 행해지는 '알비노 사냥'의 대상 중 하나입니다.




16. 주의 : 샤르밧 굴라 그녀는 소련의 아프간침공당시 고아가 되었고 1984년 파키스탄의 나시바그 난민캠프로 보내졌습니다. 사진은 그 당시 찍은 사진 입니다.




17. 수용 : 우크라이나 빈니차에서 독일군이 한 남성을 사살하기 직전의 모습입니다. 이미 죽음을 받아들인 듯한 그의 모습이 눈에 띄네요. 1941년~43년 사이에 2만5천 여명의 유대인이 이곳에서 대량 학살을 당했습니다.




18. 잃어버린 순수함 : 내전이 끝나지 않은 시리아에서 촬영한 사진. AK소총으로 무장하고, 담배를 피우던 반군소속 소년병으로 올해로 겨우 8살 입니다.




19. 절망 : 나치점령하의 바르샤바 게토의 거리에서 굶어죽어가는 여성의 모습.


각각의 사진 이름은 그들의 표정을 보고 느껴지는 감정으로 이름을 붙였다고 합니다. 

두려움,공포,놀라움,절망 등 온갖 감정이 사진속에 담겨져 있는거 같습니다.


반응형